솔티트립(86)
-
집중호우
간밤에 내린 비는 엄청났다. 강수량도 강수량이거니와 타프 위로 떨어지는 빗소리는 ASMR이 아닌 9.1 채널 우퍼가 달린 스피커를 틀어놓았나 싶을 정도로 웅장했다. 어찌나 세차게 내리던지 행여나 비가 세거나 옹벽이 무너져 일이 생기는 것이 아닐지 혼자서 별의별 생각을 하다가 잠이 들고 깨기를 반복했다. 간간이 들려오는 천둥, 번개의 굉음이 더해져 완벽한 사운드를 만들고 있었다. 빗소리가 주는 낭만보다는 두려움이 조금 더 컸던 밤이었다. 새벽을 여는 새소리에 일어나 좋아하는 음악을 크게 틀고 믹스 커피를 마시는 지금, 다행히 빗줄기는 약해졌다. 내리는 비에 내 주변의 모든 것들이 시원하게 샤워를 한 것 같다. 오랜만에 나 역시 캠핑 의자에 앉아 글도 끄적이고 책도 읽으며 나만의 시간에 집중한다. 비가 내려..
2022.04.26 -
카페인
하루 세 번 마시는 커피, 새벽에 일어나서 출근하기 전에 마시는 따뜻한 아메리카노. 열심히 노동을 하는 중간에 마시는 믹스. 퇴근 후 지친 몸과 마음을 회복시켜주는 달콤하고 시원한 아이스 헤이질럿 라떼. 가끔은 바닐라, 돌체, 카페 라떼... 일부러 그러는 것은 아니지만 마치 나만의 루틴처럼 반복된다. 하루 세 번의 카페인의 힘으로 그나마 버티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하루 세 번, 밥을 먹지 않아도 커피는 마시는 요즘.
2022.03.04 -
휴게소
대로변에 위치한 한가로운 아니 운영이 되는 곳이 맞나 싶을 정도로 고요한 휴게소. 휴게소라는 간판이 없었더라면, 갈려고 했던 식당이 휴무일이 아니었더라면, 내비게이션이 알려주는 길을 제대로 찾아들었다면, 확률적으로 이곳을 일부러 찾아가기란 거의 불가능에 가까웠다. 예정된 도착시간보다 훨씬 지체된 상황, 늦은 점심을 간단히 해결하기 위해 찾은 휴게소. 주차를 할 수 있다는 점이 이곳을 찾은 가장 큰 이유였다. 아무튼 우연의 연속이 아니었다면 만나지 못했을 곳이다. 바다 풍경과 자장면 맛은 거기서 거기라지만 바다가 보이는 코 앞자리에서 자장면을 먹을 수 있는 경험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이곳에서 나는 단돈 5000원에 짜장면을 먹으면서 지겨울 정도로 드넓은 바다를 바라보았다. 주문한 자장면이 나오기 전까..
2022.02.21 -
20분
당직의 연속, 육체적 + 정신적 피로감이 늘어간다. 오후 퇴근 후 지친 몸을 이끌고 집이 아닌 가까운 바다가 보이는 카페로 직행, 잠시 몸도 마음도 쉬어본다. 복잡한 서울에서 차로 20분, 제 아무리 발버둥 쳐봐도 항상 그 자리, 도심을 벗어나지 못한다. 그러나 이곳에서는 조금 다르다. 차로 20분 달려오니 드넓은 바다가 나타난다. 행복이란 게 별 것 없나 보다. 멍하니 창밖으로 펼쳐진 바다를 바라보며 마시는 커피 한잔. 동네에서 마시는 커피보다 조금 비싸긴 하지만 바다를 보는 값을 따져보면 조금 사치를 부려도 될 것 같다. 저 멀리 멀어져 가는 하루 해, 나의 하루도 조금씩 저물어 간다.
2022.02.15 -
www
일 년 일 년 도메인을 연장하고 있다. 더 이상은 필요 없을 것 같은 도메인이지만... 왠지 이것마저 없어지면 더 이상 여행작가로서의 아이덴티티가 사라지는 듯한 기분이랄까. 2016년 처음 도메인을 만들고 홈페이지 운영을 시작했다. 올해로 7년째다. 흔한 광고 수익도 없고 방문자수도 손에 꼽을 정도지만 그래도 꾸준히 유지해오고 있는 셈이다. 호스팅은 작년을 마지막으로 마무리했으니 앞으로는 도메인 유지 비용만 대략 일 년 22000~24000원 정도가 든다. 즐겨마시는 커피를 기준으로 따지면 대략 10잔 정도. 아깝다고 생각한 적도 있지만 요즘엔 그냥 커피 좀 덜 마시지...라고 생각하며 매년 연장을 하고 있다. 코로나로 인해 여행을 떠나지 못하는 요즘엔 예전 기록들을 찾아보며 또 다른 랜선 여행을 떠나는..
2022.01.25 -
끼리끼리
기계는 이용하기에 편리하지만 고장이 나거나 예상치 못한 오류가 생기면 무척이나 당황스럽다. 전문가라면 금방 풀어낼 수 있는 문제들이겠지만 때로는 여러 방법으로 고생을 하게 만든다. 한동안 사용하지 않고 있던 아이패드에 문제가 생겼다. 활성화를 시켜야 하는데 도무지 apple ID 비번이 생각나지 않는 것이다. 보통은 암호 찾기 등의 서비스가 있는데 아무리 찾아봐도 찾을 수가 없는 상황. 애플 홈페이지를 들어갔나 나갔다. 결국 채팅과 전화 상담까지. 친절한 도움 끝에 아이패드는 활성화가 되었고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문제는 hotmail.com 시절에 가입했던 오래된 apple ID 때문에 관련 지침을 받을 수가 없었던 것. 현재 사용하고 있는 아이폰과 맥북에어는 다른 apple ID로 연동이 되어..
2021.12.02